
《PINK: Published In North Korea》
8월 15일 (금) 오후 7시
8월 16일 (토) 오후 3시, 7시
윈드밀 (용산구 원효로 13 지하2층)
*8월 12일 (화) 오후 2시, 오후 5시에는 퍼포먼스 연계 워크숍 〈춤을 책으로 배웠어요〉가 진행됩니다. 워크숍과 퍼포먼스는 별도의 프로그램입니다.
〈PINK: Published In North Korea〉는 북한에서 ‘출판된 춤’을 발굴해 나가는 예술적 연구이자 퍼포먼스 작업이다. 이 프로젝트는 남한의 안무가 정다슬의 손에 우연히 닿은 북한의 무용 서적 『무용표기법』에서 시작된다. 북한에서 개발한 자모식 무용 표기법의 원리를 담고 있는 책에 대한 연구는 그 표기법으로 쓰인 안무가 담겨 있는 책 『사관장과 전사들』에서 춤을 추출하는 작업으로 확장되고 있다.
『사관장과 전사들』이라는 한 권의 책이자 춤에는 북한의 안무가 홍정화가 창작한 여성 7인의 군무가 분명히 담겨 있다. 모호한 기호에 담긴 명확한 춤을 읽어내는 일은 더디고, 그 춤을 다채로운 남한의 무용수들의 몸에 담아 여기 존재하게 만드는 일은 너무도 지난하다. 사실 우리는 그 춤의 원형을 이미 잃어버렸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관장과 전사들』은 남한의 한 공간에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발굴과 복원, 그리고 기호와 신체 사이를 가로지르며 일어나는 책, 혹은 춤.
《PINK: Published In North Korea》
컨셉/안무ㅣ정다슬
드라마투르기ㅣ권태현
리서치ㅣ유지영, 임은정, 정다슬, 주혜영
발전/퍼포먼스ㅣ강호정, 박유라, 박주현, 송명규, 유지영, 임서희, 주혜영
영상ㅣ백종관
편곡ㅣ김현수
무대ㅣ이신실
무대 어시스턴트ㅣ김성빈
사진 기록ㅣ전소영
영상 기록ㅣ삼인칭시점
그래픽 디자인ㅣ슈퍼샐러드스터프
프로덕션 매니지먼트ㅣ강유진
프로덕션 어시스턴트ㅣ천주연
주최/주관ㅣ정다슬파운데이션
후원ㅣ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사관장과 전사들』
안무ㅣ인민배우 홍정화
작곡ㅣ김동철
표기ㅣ주암금, 김혜숙
2025년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지원 선정 프로젝트
퍼포먼스 연계 워크숍 〈춤을 책으로 배웠어요〉
8월 12일 (화) 오후 2시, 5시
윈드밀(용산구 원효로 13 지하2층)
워크숍 〈춤을 책으로 배웠어요〉는 〈PINK: Published In North Korea〉에서 참조한 북한의 무용 서적을 소개하고, 2022년부터 정다슬이 리서치 해온 북한의 ‘자모식 표기법’의 체계와 기본 원리를 습득·실천해 보는 워크숍이다. 북한의 무용 표기법으로 함께 춤을 만들고, 쓰고, 또 다시 추어 보면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춤과 안무의 물질성에 대한 질문들을 함께 나눈다. (분명히 밝히자면, 정다슬은 노테이션 전문가가 아니다.)
=
《PINK : Published In North Korea》
- Aug 2025, 19:00
- Aug 2025, 15:00, 19:00
Windmill(13, Wonhyo-ro, Yongsan-gu)
*On Tuesday, August 12 at 2PM and 5PM, the performance-related workshop “I Learned to Dance from a Book” will take place. Please note that the workshop and the performance are separate programs.
PINK: Published In North Korea is an ongoing artistic research and performance project that traces and excavates dance “published” in North Korea. The project began when South Korean choreographer Da Soul Chung encountered a North Korean instructional book titled The Chamo System of Dance Notation, which outlines the principles of a uniquely developed system of phonetic notation for encoding movement. What began as a study of this system has since expanded into an attempt to extract choreography from another book: The Commander and the Warriors, a book written entirely in this notation.
This single book—and dance—The Commander and the Warriors contains a group choreography for seven women, created by North Korean choreographer Hong Jeong-hwa. Interpreting precise movement from its ambiguous signs is a meticulous process, and embodying that movement through the diverse bodies of South Korean dancers is even more labor-intensive. Arguably, the original form may already have been lost. Nevertheless, The Commander and the Warriors will manifest—here, in a space in the South. A book, or a dance, brought into appearance through excavation and reconstruction—crossing the thresholds between code and body.
《PINK : Published In North Korea》
Concept/ChoreographyㅣDa Soul Chung
DramaturgyㅣTaehyun Kwon
ResearchㅣDa Soul Chung, Jiyoung Yoo, Hyeyoung Ju, Eunjoung Im
Development/PerformanceㅣHojung Kang, Hyeyoung Ju, Jiyoung Yoo, Joohyeon Bahk, Myungkyu Song, Seohee Im, Yura Park
Film l Jongkwan Paik
Music Arrangement l Hyunsoo Kim
Stage Management l Sinsil Lee
Stage Assistant l Sungbin Kim
Archival Photography l Soyoung Jeon
Archival Video l TheThirdPersonPoint
Graphic DesignㅣSUPERSALADSTUFF (Haeri Chung)
Production ManagementㅣYoojin Kang
Production AssistantㅣJooyeon Chun
Presented l DA SOUL CHUNG FOUNDATION
Supported 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Commander and Warriors』
ChoreographyㅣJeonghwa Hong
Music CompositionㅣDongchul Kim
Notation WritingㅣAmgeum Ju, Hyesook Kim
A work selected for the 2025 SFAC Art Creation Support Program
“I Learned to Dance from a Book”
*A workshop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PINK: Published in North Korea>.
12. Aug 2025, 14:00, 17:00
Windmill(13, Wonhyo-ro, Yongsan-gu)
The workshop “I Learned to Dance from a Book” introduces the North Korean dance books referenced in PINK: Published In North Korea, inviting participa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systematic framework and underlying logics of North Korea’s distinctive choreography notation.
Through collaborative practices of choreographic composition, inscription, and embodied reenactment using the North Korean notation system, the workshop fosters critical reflection on the materiality of dance and the ontology of choreography.
(For clarity, Da Soul Chung is not a notation specialist.)
